ERD NEWS

트럭의 미세먼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8-11-01

본문

미세먼지 부르는 배기가스, 트럭은 안녕하신가요 ? 2016-05-20
[HOOC=서상범 기자]환경부가 최근 발표한 경유차 주행시험이 큰 논란입니다. 폴크스바겐의 배기가스 불법 조작 사건이 발생한 후 환경부는 국내 시판 경유차에 대해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실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대 조사했는데요.
환경부는 지난해 12 월부터 지난달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유로 6 인증 경유차 20 개 차종을 대상으로 실외 도로 주행시험을 실시한 결과 19 종이 실내 인증기준(0.08g/㎞)을 초과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닛산 캐시카이를 비롯해 다수의 차량들이 인증기준보다 수배~수십배 높은 질소산화물을 배출했다고 밝혀 충격을 줬습니다.

현대차 포터
이는 최근 심각해져가는 미세먼지 논란에 더해져 경유차를 공기오염의 주범으로 확신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 대한 논란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발표된 차량의 제조업체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입니다.
특히 닛산과 르노삼성 등은 환경부의 조사방식에 문제가 있었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번 조사로 인해 사람들은 기준을 초과해 질소산화물을 배출하고 있는 경유차에 대해 비난의 화살을 보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이번 환경부 조사에 대한 또 다른 아쉬움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는 엄밀히 말해 ‘경유차’가 아닌 ‘경유 승용차’에 대해 진행된 반쪽 짜리라는 것입니다.
조사 대상이 된 20 개 차종은 모두 국내외 시판되고 있는 경유 승용차들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하지만 승용차 외에도 경유로 움직이는 차량들이 있죠. 바로 화물차와 승합차와
같은 상용차입니다.
특히 이런 상용차들은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의 비중은 낮지만, 비중을 뛰어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대형 화물차는 자동차로 인해 발생되는 전체 미세먼지의 68%를 내뿜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연간 뿜어내는 질소산화물도 화물차(23 만 2970 톤)가 버스(3 만 6062 톤)의 6.4 배 수준으로 알려졌습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경유차는 바로 현대자동차의 포터입니다.
지난해에 무려 10 만대에 육박하는 9 만 9743 대가 판매됐으며 올해도 지난 4 월까지 월별 베스트셀링카 1 위를 세 번이나 차지하며 무려 3 만 5099 대를 판매했습니다.
포터는 2.5 디젤 초장축 일반캡(AT) 기준으로 220g/km 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유로 5 기준).
반면 유로 6 가 적용된 쏘나타 1.6 T-GDi 는 129g/km 를 배출하고 있죠.(질소산화물 배출량에 대한 수치는 공개된 것이 없습니다)
아직 국내에서는 3.5 톤 이하의 상용차에 대해서는 유로 6 기준 적용을 9 월까지 유예하고 있기 때문에 쏘나타에 비해 2 배 가까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포터와 같은 차종이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상용차 중 하나인 스타렉스 역시 대부분이 디젤 모델로, 매년 수만대의 판매량을 기록중입니다.
그러나 이번 환경부의 조사에서 이 차종들은 대상에서 제외가 됐습니다. 유로 6 기준에 적합하는 승용차량만 우선적으로 조사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실질적으로 미세먼지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상용차량에 대해서는 유로 5 기준이라해도 조사가 이뤄졌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환경부의 조사가 ‘유로 6 도입에도 불구하고 어떤 차들이 기준치를 속였나’라는 것에서 나아가, 현재의 미세먼지의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근본적인 내용이 됐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정부도 상용차에 대한 문제 인식을 하고 있습니다. 이달 말에 발표될 미세먼지 대책에 있어 상용차 관련 내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러나 이 대책에 있어 경유차에 세금을 부과한다거나, 경유에 대한 유류세를 올려 운행을 줄이는 방안을 논의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현대차 스타렉스

그러나 이 소식이 전해지면서 화물차를 운행하는 자영업자들을 중심으로 거센 반발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배기가스를 기준치보다 초과해 배출하는 상용차의 경우, 이를 소비자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 아닌, 제조사 측에 제재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tiger@heraldcorp.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